들어가며
이 글에서는 우주드림이 소속된 미국 박사후연구원 연구실의 협업 도구들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소속 연구실의 특성
우주드림이 소속된 연구실은 계산의생물학(Computational biomedicine)을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Computational biologist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연구실이기에 computational tool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편입니다.
우주드림은 새로 개발된 tool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연구실 운영 효율화와 생산성에 더 유익하다고 생각되어 이를 소개합니다.
Dropbox
Dropbox는 많이 사용되는 tool입니다.
우주드림 소속 연구실에서는 공용 Dropbox를 다음과 같이 활용합니다.
1. 연구실 가이드라인 문서 공유
2. 프로젝트 공유
3. 강의 공유
4. 읽을거리 공유
5. 랩미팅 영상 공유
6. 프로토콜(Dry & Wet) 저장
Dropbox는 빠른 협업 보다는 장기적인 자료 보존과 공유 중심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Slack
Slack은 소통 용도의 tool입니다.
우주드림이 소속된 연구실에서는
1. 주요 공지
2. 논문 공유
3. 물품 주문 및 배송
4. 기타
의 4가지 범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체 메일이나 웹페이지보다는 slack을 이용하는 것이 소통에 효율적으로 보입니다.
Google group
Slack 보다는 소통이 일방향적인 Google group도 이용합니다.
Slack보다는 일방향적인 정보 전달 목적의 내용에 google group을 이용합니다.
Slack의 특성상 지나간 내용을 놓치기 쉽다면 Google group은 중요한 내용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GitHub
계산생물학을 다루는 연구실인만큼 GitHub를 통해 code와 프로그램을 공유합니다.
Trello
Trello는 웹 기반의 협업툴로 아이디어, 해야할 일, 마무리한 일, 진행중인 프로젝트를 게시판 형태로 시각화하는 tool입니다.
Trello를 이용하면 팀원들끼리 진행상황을 별도의 미팅 없이 확인할 수 있고,
아이디어와 코멘트 역시 별도의 미팅 없이 쉽게 남길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미팅과 과정을 줄여주는 좋은 Tool로 생각됩니다.
Trello는 협업 뿐만 아니라 개인 일정 정리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마치며
연구자들은 늘 제한된 시간에 쫓깁니다.
생산적인 일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게 일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인이라 생각합니다.
효과적인 협업 툴을 이용하여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고, 업무를 효율화 한다면,
작은 시간들이 쌓여 프로젝트의 성공과 더 좋은 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Post-doc life > US postdoc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무료 코로나 백신 맞기 (0) | 2021.08.15 |
---|---|
How to apply for SSN and the example (0) | 2021.08.12 |
J-1 비자 SSN 신청 방법과 실제 사례 (0) | 2021.08.12 |
DARPA PREPARE project (0) | 2021.08.10 |
미국 박사후연구실의 가이드라인 (0) | 2021.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