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드림 (woojoodream)
Would you dream? 당신이 꿈꾸는 것
반응형

알후과작 10

[알후과작] 제가 1 저자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들어가며 ‘누가 저자가 될 것인가? 저자의 순서가 어떻게 될 것인가?’는 연구자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문제입니다. 저자권과 저자 순서에 대한 끊임없는 내부의 의견 충돌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이슈가 되거나 그로 인한 형사책임까지 겪게 되기도 합니다. 저자권 문제에 대한 충돌로 신뢰가 깨져 연구실을 그만두거나, 더 이상 함께 공동연구를 하지 않게 되는 사유가 될 만큼 민감한 문제입니다. 저자권 결정은 연구 윤리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성과 분배의 문제이기도 한 중요한 결정인 것입니다. 논문 저자의 종류와 순서에 대한 결정은 연구 참여자 간의 수평적인 논의와 합의로 진행되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이 이상적이기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저자의 자격과 순서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이 있으나 일률적인 기준이 존..

[알후과작] 읽힐 수 있는 논문 제목 정하기

들어가며 논문은 읽히기 위해 작성됩니다. 읽히지 않는 과학은 읽어버린 과학이 된다(Unread science is lost science)[1]는 표현에서 대표되듯이 논문이 읽히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될 것입니다. 읽히는 논문이 되기 위해서는 논문의 소비 방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독자들이 논문을 읽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최초이자 결정적인 지점이 제목입니다[2]. 훌륭한 제목은 더 많은 독자들을 그 논문으로 이끌 것이고, 여러 논문 소비층에게 영향을 주어 더 많은 인용, 더 많은 알림, 더 좋은 영향을 주게 될 것입니다. 출처: [BRIC Bio통신원] [알후과작] 읽힐 수 있는 논문 제목 정하기 (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41881 )

[알후과작] 논문의 형식 – IMRaD출처

들어가며 논문 작성 경험이 많지 않은 연구자가 초고를 작성 후 지도교수 또는 동료에게 검토를 받을 때 흔히 들을 수 있는 평가는 “이 문장에서 말하려는 것이 뭔가요?”, “이 내용은 이 부분에 적합하지 않아 보이네요.”, “구성이 혼동되네요”와 같은 내용보다는 형식과 구성에 대한 것입니다. 이러한 평가는 실제 논문에서 전달하려는 연구 결과 그 자체가 아니라 논문의 형식과 구조를 통한 소통 방식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입니다. 논문에서 전달하려고 하는 핵심을 논문의 형식과 구조에 맞추지 못한다면 내용을 전달하기 전에 혼란을 일으켜 그 내용이 감춰지는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논문을 통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논문의 형식으로는 IMRaD (Introduction, Method, Result..

[알후과작] 논문의 구조화 방법 - Context-content-conclusion (CCC)

우주드림이 브릭에 연재중인 논문작성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논문의 구조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본문의 소개글을 발췌합니다. 들어가며 그동안 알후과작 연재에서 과학논문은 연구결과의 효과적인 전달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한 독특한 형식을 발전시켰다는 점을 소개하였습니다 [1]. 관련하여 연구결과를 명료하게 전달하기 위한 대표적인 구조화 방법으로 Context-content-conclusion(맥락-내용-결론, CCC)을 제시하였습니다 [2, 3]. 이 글에서는 CCC 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 구조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소개하겠습니다. 출처: [BRIC Bio통신원] [알후과작] 논문의 구조화 방법 – Context-content-conclusion (CCC) ( https://www.ibr..

[알후과작] 저자의 자격과 부당한 저자 표시

이 글에서는 브릭에 연재중인 '[알후과작] 저자의 자격과 부당한 저자 표시'을 소개합니다. 한국연구재단이 2021년 발표한 ‘대학 교원의 연구윤리 인식수준 조사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대학 교원들이 인식하는 연구윤리 위반 행위 중 부당한 저자 표시는 최근 3년간 계속해서 상위권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림1) [1]. 2015년 브릭의 설문 조사에서도 최근 3년간 참여한 논문에서 저자권(Authorship) 갈등을 경험한 비율이 48%로 나타났습니다 (그림2) [2]. 그중에서도 저자의 순서에 관한 갈등은 79%, 참여하지 않은 연구자가 저자로 참여하는 갈등은 72%, 참여한 연구자가 저자에서 누락되는 것으로 인한 갈등은 44%로 나타났습니다 [2]. 사실상 논문을 작성하는 이들은 빈번하게 저자권 문제 ..

[알후과작] 우수한 과학논문 작성을 위한 10가지 조언

들어가며 우수한 과학논문 작성법을 익히고 전달하는 것은 개인의 발전과 학계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잘 작성된 과학논문은 독자들을 흥분시키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되며, 분야를 넘어 더 넓게 영향을 줄 수 있게 되고, 저자의 작성 과정을 더 즐겁고 효율적이게 할 것입니다[1]. 이 글에서는 우수한 과학논문 작성을 위한 10가지 조언을 전달합니다.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33922 [알후과작] 우수한 과학논문 작성을 위한 10가지 조언 우수한 과학논문 작성법을 익히고 전달하는 것은 개인의 발전과 학계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잘 작성된 과학논문은 독자들을 흥분시키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되며, 분야를 넘어 더 넓게 www.ibri..

[알후과작] 논문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1]. 처음 과학논문을 출판하려는 저자는 과학논문 출판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과학논문 출판을 둘러싼 연구자들의 희로애락을 담은 에피소드들은 논문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갈등에서 피어납니다. 이 에피소드에서 저자의 역할을 맡은 이들은 겪어온 갈등과 이에 대응하는 자신의 전략과 생각을 담은 이야기로 며칠 밤을 새울 수 있을 만큼 그 이야기들의 농도가 진합니다. 경험 있는 선배 연구자들은 그 이야기들을 풀어놓으며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 “논문은 섹시해야 한다” “일단 논문 포장을 잘하는 게 중요하다” “그럴듯하게 써야 한다” “편집자와 평가자 복이 있어야 한다” “그 논문은 여전히 왜 거절됐는지 모르겠어...”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얽혀있기에..

[알후과작] 2. 논문은 왜 형식적이어야 할까?

우주드림이 Bric에 연재중인 과학논문 작성법에 대한 글 '알후과작(알아두면 후회 없을 과학논문 작성법)' 2번째 글을 소개합니다. 본문 주요 내용 김영하 작가는 ‘형식은 굉장히 아름다운 것’이라고 하였습니다(그림1. KBS 프로그램 ‘대화의 희열2’ 중). 형식이 아름다운 이유는 창작물들이 자신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결과가 형식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의 관계(Structure determines function)가 이와 유사하다 할 것입니다[1]. 창작물의 범위를 글로 제한하면 소설, 시, 수필, 기사, 시나리오, 연설문, 사설, 평론 등 목적과 이에 부합하기 위해 갖추게 된 개별 형식들을 떠올려볼 수 있습니다. 이 중 과학논문은 다른 글들과는 구별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유 ..

[SciTechIn] 알아두면 후회없을 과학논문 작성법(알후과작)을 시작합니다

이 영상에서는 브릭(BRIC)에서 연재중인 알아두면 후회없을 과학논문 작성법(알후과작)의 첫글을 소개합니다 https://youtu.be/UdI_ZNqowr8 관련 글 링크 우주드림 블로그: https://woojoodream.tistory.com/entry/%EC%95%8C%ED%9B%84%EA%B3%BC%EC%9E%91-1-%EC%95%8C%EC%95%84%EB%91%90%EB%A9%B4-%ED%9B%84%ED%9A%8C-%EC%97%86%EC%9D%84-%EA%B3%BC%ED%95%99%EB%85%BC%EB%AC%B8-%EC%9E%91%EC%84%B1%EB%B2%95%EC%95%8C%ED%9B%84%EA%B3%BC%EC%9E%91-%EC%97%B0%EC%9E%AC%EB%A5%BC-%EC%8B%9C%..

[알후과작] 1. 알아두면 후회 없을 과학논문 작성법(알후과작) 연재를 시작합니다

우주드림이 Bric에 연재중인 과학논문 작성법에 대한 글 '알후과작(알아두면 후회 없을 과학논문 작성법)'을 소개합니다. 본문 주요 내용 과학자의 핵심 정체성은 과학논문 생산자로 규정됩니다. 과학자의 범주는 연구자, 지식인, 철학자, 공학자, 기술자, 기업가, 행정가, 교육가, 법률가, 기고가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나, 과학자 양성소인 고등교육기관이 실질적으로 양성하고 있는 과학자는 논문을 생산하는 학계 연구자(Academic researcher)로 한정되기 때문입니다[3]. 그리고 학계 연구자의 정체성은 논문으로 규정됩니다. 이 연재에서는 과학자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존재인 과학논문, 바로 이 과학논문 작성법을 소개합니다. 알후과작 과학논문 작성과 출판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4-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