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드림 (woojoodream)
Would you dream? 당신이 꿈꾸는 것
반응형

전체 글 350

Chase freedom 카드 만들기 (체이스 프리덤 플렉스, 체이스 프리덤 언리미티드)

2022. 9. 21.일 기준입니다. 체이스에서 credit card를 시작할 때 많이 사용하는 카드로 체이스 프리덤 플렉스 또는 체이스 프리덤 언리미티드가 있습니다. 두 카드 모두 연회비(Annual fee)가 없고, 카드 개설 후 3개월간 $500을 사용하면 $200의 cash back을 받습니다. 체이스 프리덤 플렉스의 세부 혜택과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체이스 프리덤 언리미티드의 세부 혜택과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위의 카드 개설이 가능합니다. https://www.referyourchasecard.com/18a/X94EQ8DFM5 * 위 링크를 통해 카드 개설을 하면 우주드림을 추천하게 됩니다.

이삭, 우물, 블레셋, 아비멜렉, 그랄, 떠돌이, 가나안

창세기 26장 12-16절 QT 나눔 하나님의 복을 받은 이삭 무리가 번성하자, 지역 사람들은 이삭을 시기하고 그의 터전에서 그를 떠나게 하며 떠난 이후에도 비슷한 상황이 반복됩니다. 제 삶에서 그동안 심은 것이 이것저것 있지만 대부분 100배가 되기보다는 1배라도 되면 다행이지 않았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부자가 되고 점점 더 부유해져가는 이삭의 삶이 잘 상상이 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삭 무리가 그랄을 떠나고 우물과 관련한 갈등을 겪는 과정에 대한 문체가 차분하고 이삭의 감정선이 표현되어 있지 않아 한 개인이 그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알기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미루어 짐작해보면 흉년으로 그랄까지 오게된 외부인 이삭은 다른 사람들이 선택하지 않는 버려진 땅에 어렵게 정착했을 것 같습니다...

Quiet Time 2022.09.21

작년 서울대 330명 자퇴, 23년 만에 최대... 가장 많은 단과대는

작년에 서울대생 330명이 학교를 중도에 그만두고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가 자퇴생 통계를 집계한 1998년 이후 23년 만에 가장 많은 숫자다.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120명 수준이던 자퇴생 수는 2020년 264명, 지난해 330명으로 크게 늘었다. 작년 자퇴생 수는 1998년 이후 최고치다. 2012년 이후 지난달까지 약 10년 동안 자퇴생 합계는 총 1990명으로 집계됐다. 단과대별로는 공과대학(551명), 농생명과학대학(489명), 자연과학대학(270명) 순으로 많았다. 모두 이공계열이다. 3개 단과대 자퇴생 수를 합치면 1310명으로 전체의 65.8%를 차지한다. 사범대학 생물·화학·지구과학·물리·수학교육과와 수..

중국 과학논문수와 인용수 미국 제쳤다

중국의 과학 분야 주요 논문 발표 수가 2019년 미국을 처음으로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양 뿐 아닌 논문의 질과 연관된 피인용 횟수에서도 처음으로 미국을 앞섰다. 6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KAIST와 공동으로 연구정보 데이터 분석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의 과학인용색인(SCI)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전 세계 SCI 논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019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인용 현황’ 보고서에 발표했다. 보고서는 두 기관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과학기술논문 질적 성과분석 연구의 주요 내용을 발췌해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9년 SCI 논문 49만 1960편을 발표해 전 세계 논문의 24.37%를 점유했다. 미국이 48만 4819편으로 뒤를 이었다. ..

컨디션 유지와 사회경제적 부담 (이효리, 이상순)

컨디션이 좋을 때, 더 유연하거나 말의 양이 많아져서 사회적인 상황에 적절해지는데 10번 중에 9번은 컨디션이 안 좋고, 1번쯤 컨디션이 좋아도, 컨디션 좋다고 아끼지 않으면 돌아오는 주에 일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그래서 아끼게 되는 면이 있는데 누가 사회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면 관계적으로 더 건강히 살 수 있을지도 이효리가 없는 이상순과 이효리와 사는 이상순이 다르듯이 덜어주지 않으면서 원하지만 않아도 고마울 것 같다 ㅋㅋ 일을 하면서 무료하거나 우울감이 느껴지는 부분 중에는, 일하지 않을 때, 너무 exciting하게 보내서 그 격차 때문인 부분과 놀면서 에너지를 과하게 써서 그런 부분도 있지 않을까는 내향이라 그럴 지도

13th National Postdoc Appreciation Week

2022년 9월 19-23일은 National Postdoc Appreciation week입니다. National Postdoc Appreciation Week은 박사후연구원(포닥) 모임의 주요 행사로, 미국에서 300개 이상의 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연구, 혁신, 과학적 발견에 대한 박사후연구원의 기여와 중요도를 기념하는 행사입니다. 올해에는 'Finding Your Balance'를 주제로 하여, 커리어와 건강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박사후연구원(포닥)은 임시직으로 이후 커리어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연구에 참여하여 기법을 익히고 또한 트레이닝을 받는 직책입니다. 현재 미국에는 약 70,000명의 박사후연구원이 있고, 대부분 STEM 분야에서 있으면서 기초연구를 ..

대학 정원 4년간 줄인다. 고령화, 학생 영입, 아이돌 산업

교육부 조사에 따르면 각 대학이 4년간 1만 6197명의 정원을 줄일 계획을 냈다고 한다. 그나마도 수도권은 별로 줄일 계획이 없다고 한다. 대학들의 계획과 무관하게 3년 내에 학령 인구는 6만명이 줄어들 예정이라고 한다. 대학의 구조를 생각할 때, 자발적으로 인원을 줄이는 것은 불가하다고 생각한다. 규모를 유지해야 밥그릇이 유지되고 파워가 유지된다 상위권이 가능한 버틸 것이기 때문에 하위권부터 무너지는게 수순이지 않을까 그러나 학령 인구가 줄수록 고학력을 할 동기가 줄기에 인원의 감소보다 그 파급력이 크지 않을까 일본의 사례를 보면, 특유의 폐쇄성도 있고 고령화와 장기 경기침체를 겪으며 대학과 기업의 경쟁력 상실이 올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및 아이돌에서 보여주었듯이 아시아권에서 학령인구를 장학금을 주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