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업데이트 된 저널 impact factor입니다.
LANCET이 200, NEJM이 176, Nature Medicine이 87 등
Biomedicine journal의 Impact factor 증가 추세가 강력합니다.
2019년 말부터 이어진 COVID19으로 인한 biomedicine 분야의 논문 출판 증가 및 인용 증가로 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COVID19 이전에도 타분야에 비해 impact factor가 높은 편이었다.
COVID19으로 인한 journal impact factor의 거품 이외에 다른 이유가 있지 않을까 고민해본다.
이에 대하여 아래의 글에서 가능한 설명을 찾아볼 수 있었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5121
가능한 설명 중 하나는 Biomedicial science의 박사과정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 뿐아니라 국내에서도 비슷한 경향에 있다.
한편 과학 또는 Biomedical Science 분야의 예산은 정체되어 있어,
고학력자의 안정적 취업이 불가한 구조적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는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Genome project로 급격히 증가한 Biomedical science 고학력자와 그로 인한 구조적 문제가,
4차산업혁명으로 촉발된 AL/ML 분야의 석박사학위 증가에서 이어질 지 지켜봐야하지 않을까.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의 기대 소득을 올리는 방법? 어릴 때 부유한 친구를 만나기? (0) | 2022.08.02 |
---|---|
수면 부족과 우울증 (0) | 2022.07.06 |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특성 및 일자리 변화 (0) | 2022.06.23 |
[Electric guitar]POD GO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치 (0) | 2022.03.06 |
삼성 스마트폰 맥북 연결하기 (0) | 2022.01.19 |